[React][생활코딩]리액트 설치 ~ 배포
설치
npm 다운로드 이후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이렇게 전역공간에 npm을 설치한다.
터미널에서 설치하고자하는 폴더로 들어가서 (cd 파일명
)
npm create-react-app
실행
새로운 폴더에서 npm create-react-app 안되는 경우
새로운 폴더에서 안되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전역공간에 create-react-app이 만들어지지 않았기때문이다.
$ npm config set prefix /usr/local
$ sudo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 create-react-app my-app
위 명령어를 작성하면 새로운 폴더에 리액트 개발환경 설정이 가능하다.
VS Code에서 샘플 웹앱 실행
vs code 상에서 설정->명령 팔레트 에서 터미널:새 터미널 만들기
검색 후,
터미널로 해당 폴더에 접근
npm run start
로 react 웹앱이 실행되고, 코드를 실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다.
실행 : `npm run start`
실행 종료 : `control + c`
샘플 웹앱
├── node_modules
├── public
│ ├── index.html
│ └── manifest.json
│
├── src
│ ├── App.css
│ ├── App.js
│ ├── index.css
│ ├── index.js
│ ├── setupTests.js
│ └── reportWebVitals.js
├── package.json
└── package-lock.json
파비콘, 로고 등을 삭제한 현재 폴더의 모습.
지킬 블로그나, 예전에 프론트 조금 끄적거렸을때도 index.html
로 웹 페이지를 처음 구동하곤 했었다.
리액트는 index.html
은 src의 정보를 담는 그릇으로만 사용된다.
실질적인 코드들은 src안의 파일들로 작성된다.
index.js에서 src의 파일들을 import해 index.html에 해당 파일들을 React의 문법으로 삽입한다.
index.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
import './index.css';
import App from './App';
import reportWebVitals from './reportWebVitals';
ReactDOM.render(
<React.StrictMode>
<App />
</React.StrictMode>,
document.getElementById('root')
);
reportWebVitals();
blablabal…
그런데 익숙한 명령어 하나가 있다.
document.getElementById("root");
이 명령어는 html에서 root id를 가진 dom객체를 가져온다.
그러면
ReactDOM.render(
<React.StrictMode>
<App />
</React.StrictMode>,
document.getElementById("root")
);
이 명렁어의 대략적 의미는, React 문법을 통해
root라는 id를 가진 dom 객체에 <App />을 넣는다
정도 일 것이다.
이 App이란 녀석은 import App from './App';
여기서 import되었고, 사용자 정의태그이다.
App.js에서 App이라는 함수,모듈,변수 등을 넣으라는 것이다.
App.js
App은 클래스 형식으로 표현된 리액트 컴포넌트로 만들어졌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App.css';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div className='App'>
Hello, React!
</div>
);
}
}
export default App;
리액트로부터 React와 Component를 import 했다.
그리고 밑의 class는 리액트 컴포넌트를 class 형식으로 표현한다.
return은 최소한 하나의 태그가 있어야한다.
index.css
body {
background-color: aqua;
}
div .App {
text-align: center;
}
.App {
font-size: 35px;
}
css를 구성하는 파일들이다.
index.css에서 body 태그에 css를 적용할수도, 혹은
App.css에서 body 태그에 css를 적용할수도 있다.
컴포넌트별로 각각 css파일을 import하여 개별적으로 css를 관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배포
build하는 이유
새로고침버튼을 오른쪽 클릭하면 Empty Cashe and Hard Reload를 할 수 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캐시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리액트는 개발의 편의성을 위해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하므로, create-react-app은 파일의 무게가 상당히 무겁다.
사용자 친화적으로 앱을 운영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build
이다.
build하는 법
따라서 유저들이 사용하기 용이한 배포모드의 어플리케이션을 build
하기 위해서는
npm run build
를 해준다.
![빌드폴더]](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76278794/141817402-17007134-e8a9-4bdd-b270-ca37a24278d7.png)
새로운 빌드 build라는 폴더가 생긴다.
build의 사용법
여기서 index.html을 보면 띄어쓰기, 줄바꿈없이 작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유저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고 보낸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src폴더의 파일들도 모두 처리해서 넣어준다.
실제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build 안의 파일을 사용하면 되고,
웹서버가 문서를 찾는 최상위 디렉터리에 build 폴더 안의 파일을 위치시키면 된다.
npm install -g serve
이 컴퓨터 어디에서든 serve로 웹서버 설치
npx serve
웹서버를 다운해 1번만 실행
npx serve -s build
웹서버를 다운해 실행시킬때, build라는 document root로 하여 생성한다.
댓글남기기